-
[ 목차 ]
🏠 “내 월세, 적정한 걸까?”
– 전·월세 가격 판단법과 협상 팁
🤷 “집주인이 월세 10만 원 올린다는데…”
이럴 땐 속으로 수백 번 외칩니다.
"그게 맞는 건가?" "다른 집들도 다 이만큼 하나?"
"말 한마디 못 하고 그냥 올려줘야 하나…?"
사실,
부동산 시장엔 '정보력 싸움'이라는 말이 있죠.
오늘 이 글,
여러분을 전·월세 협상력 만렙으로 만들어드립니다.
📊 적정 전·월세 시세, 어떻게 확인할까?
-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조회
👉 실거래가 공개시스템
👉 최근 3개월, 같은 동/단지/평수 조건 비교 - 네이버 부동산·호갱노노 활용
👉 ‘매물가’ vs ‘실거래가’ 비교
👉 비슷한 조건에서 나 혼자 비싸다면, 문제 있음 - 중개사 두 군데 이상 통화
👉 “비슷한 조건의 매물, 어느 정도에 거래돼요?”
👉 정보는 많을수록 내 협상력이 됩니다.
💸 전세 vs 월세, 어느 쪽이 나을까?
항목전세월세
초기 비용 | 큼 (보증금 수천만~억 단위) | 상대적으로 적음 |
매달 부담 | 없음 | 매달 꾸준히 지출 |
투자 대비 효율 | 전세금으로 투자 시 수익 발생 가능 | 월세는 ‘소비성 지출’에 가까움 |
이사 자유도 | 계약기간 내 이사 어려움 | 유동성 높음 |
👉 전세는 자금력이 있고, 오래 살 사람에게 유리
👉 월세는 이사 잦거나 자금이 부족한 사람에게 유리
🧠 임대료 협상, 이렇게 말해보자
- 근거 있는 정보 제시
“최근 거래된 옆동 14평이 60만 원인데, 여기는 너무 비싸네요.” - 보증금 or 계약기간 조건 조정
“보증금 조금 올릴 테니 월세 조금만 내릴 수 있을까요?”
“2년 계약 유지할 테니 인상은 보류 가능할까요?” - ‘갑’이 아닌 ‘파트너’처럼 접근
“저도 오래 살고 싶어요. 서로 부담 없는 조건이었으면 좋겠네요.”
✔️ 집주인은 믿고 오래 사는 세입자를 선호합니다.
→ 자신 있게, 예의 바르게 말하세요!
📌 전·월세 계약 시 유의할 점 3가지
- 중개수수료 확인하기
→ 계약금액에 따라 달라짐. 네이버에 ‘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’ 검색 - 계약서 작성 전 등기부등본 확인
→ 해당 집이 근저당 설정돼 있거나 경매 중인 물건은 피해야 - 확정일자 꼭 받기!
→ 주민센터에서 계약서 지참 후 5분이면 완료, 내 보증금 보호하는 핵심 절차
💬 "내 월세, 너무 비싸요..."라고 느낄 땐?
혼자 판단하지 마세요.
같은 조건, 같은 동네의 가격을 먼저 체크하고,
합리적인 기준과 말투로 협상해보세요.
‘말 잘해서 깎은 5만 원’이,
1년이면 60만 원 절약입니다.
정보는 무기고,
협상은 기술이고,
지갑은 당신 편이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