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나도 몰랐던 새는 돈, 구독 서비스 점검법

by 머니스캐너 2025. 7. 7.

    [ 목차 ]

나도 몰랐던 새는 돈, 구독 서비스 점검법
나도 몰랐던 새는 돈, 구독 서비스 점검법


매달 자동 결제되고 있는 서비스, 몇 개나 될까?

한 번 가입하고 나면 신경 안 쓰게 되는 구독 서비스.
요즘은 영상 스트리밍, 음악, 전자책, 심지어 커피까지
‘정기결제’라는 이름으로 매달 자동 결제되는 항목들이 넘쳐난다.

문제는 이걸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
몇 달, 몇 년 동안 ‘무의식적으로 돈이 새어나간다’는 것.

직장인 A씨 사례를 보면,

넷플릭스 14,500원

유튜브 프리미엄 10,450원

왓챠 7,900원

클라우드 저장공간 3,300원

뉴스레터 유료 구독 5,000원
→ 매달 약 4만원이 나가고 있었다.

게다가 사용 빈도는 한 달에 한두 번,
혹은 아예 ‘잊고 있는 상태’였다.

구독 관리, 이렇게 해야 ‘돈 새는 구멍’이 막힌다

1) 통합 구독 관리 앱 활용하기

요즘은 내가 어떤 정기결제를 하고 있는지
한눈에 보여주는 구독 관리 앱이 있다.

뱅크샐러드: 카드 내역 기반 자동 추출

브로콜리: 구독 결제일 알림 설정 가능

티클: 자동 알림 + 미사용 서비스 해지 권유 기능

이 앱들은
내 통장에서 빠져나가는 구독료를 추적하고
‘사용하지 않는 서비스’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.

2) 카드 내역 정리: 정기결제만 따로 확인하기

카드사 홈페이지나 앱에서
지난 3개월 내역을 추출해
‘매달 고정으로 빠져나가는 항목’을
표로 정리해보는 것도 효과적이다.

엑셀로 정리해 보면
생각보다 많은 항목이 드러난다.
심지어 무료 체험 후 해지 안 한 서비스까지 포함돼 있을 수 있다.

3) 계정 공유 서비스 체크

넷플릭스, 디즈니+, 유튜브 프리미엄 같은 경우
‘가족계정’이나 ‘친구와 공유’를 통해
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.

단, 공유는 공식 허용된 범위 내에서만 해야
불이익을 피할 수 있다.
(넷플릭스는 최근 계정 공유를 점점 제한하는 방향으로 정책 변경 중)

구독은 ‘가성비’가 아니라 ‘활용도’로 판단하라

많은 사람들이
“넷플릭스 월 1만 원이면 영화 한 편 가격이네”
“전자책 정기권이면 책 한 권 값인데?”
라고 말한다.

하지만 중요한 건
그걸 ‘내가 실제로 얼마나 자주, 깊이 쓰고 있느냐’이다.

예를 들어,
전자책 서비스 구독 중인데
한 달에 한 권도 안 읽는다면
그건 단순히 ‘돈 버리는 행동’일 뿐이다.

구독의 본질은 편리함과 반복적 사용성이다.
매일 쓰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
비용 대비 만족도가 높을 수 있지만,
‘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그만’인 서비스는
과감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.

정리하자면:

구독 서비스 현황을 눈으로 확인하고

사용빈도 vs 비용을 비교하며

3개월 이상 안 쓰는 건 해지하고

새로 가입할 땐 ‘매달 내가 쓸 수 있는지’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.

지금도 당신의 통장에서
기억도 못 하는 항목이 빠져나가고 있을 수 있다.
이 글을 본 김에
오늘 당장 카드 내역부터 들여다보자.
진짜 ‘가성비’는
쓰는 돈보다 줄이는 돈에서 나온다.